詩가 마음을 만지다/최영아/쌤앤파커스 시가 있는 심리치유 에세이 “과학자 겸 철학자인 로렌츠 오킨(Lorentz Orkin)은 이런 말을 했다. ”눈은 우리를 바깥세계로 데려가고, 귀는 세계를 인간에게로 가져온다.“ 세상의 모든 것들은 귀를 통해서 우리의 마음속으로 들어온다. 이렇듯 귀는 외부 세계와 내면을 이어주는 통로가 되..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3.21
자발적 가난의행복/강제윤산문집/생각을 담는 집 "돌이켜 보면 삶이 내 소망대로 이루어진 적은 거의 없었습니다. 하지만 나는 내 삶이 실패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애초부터 삶에는 실패나 성공 따위란 없습니다. 성공한 삶도 없고 실패한 삶도 없습니다. 서로 다른 삶이 있을 뿐이지요. 삶은 비교 대상이 아닙니다. 누구도 삶을 벗어..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3.19
공병호의 고전강독 2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 다시 정의를 묻다/해냄 "인생은 그런 것이다. 끝까지 완주하는 것이고,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 하는 것, 끝까지 완주하는 것이고,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 하는 것, 그것이 나에게 주어진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여 훌륭함을 추구하는 길이다. 플라톤 역시 좋은 생활 습관이야말로 인간으로서의 훌..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3.15
어느 나무의 일기/디디에 반 코뵐라르트 장편소설/다산책방 본문중에서 "그래서 나는 기다렸다. 혼자서,그리고 함께, 그 모든 야생의 나무들이, 심지어 조각을 통해 트리스탄의 스타일을 나와 공유하던 나무들마저도 나를 잘 알지도 못하면서 갑자기 나를 따돌리기 시작했다. 종에 따른 편견은 오직 인간들의 전유물일 분이라고 믿고 있는 나를. 그..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3.08
만남-10차원의 행복/김봉규/예영커뮤니케이션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산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실은 살아지는 것이다. 존재한다고 생각하나 사실은 언제, 어떻게 존재했는지도 기억되지 않은채 사라져 버린다. 사실 사람들에게 존재로 기억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꽃은 시들고 풀은 마르며, 떨어진 낙엽들은 바람에 날..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3.02
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레프 톨스토이/조화로운 삶 고통과 실패에서 배우다 인간에게는 고통과 병이 필요하다 인간은 고통을 이해하면서 육체가 일시적인 존재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고통과 실패가 없다면 기쁨, 행복, 성공을 무엇과 비교하겠는가. 인간은 작은 문제들을 균형을 잃는다. 반대로 커다란 문제는 인간을 영혼의 삶으..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2.23
서 있는 사람들/법정/샘터 “.... 말이 나온 김에 빌라의 경제 윤리 같은 것을 이야기 하고 싶다. 마을사람들이 축제에 들떠 즐기고 있을 때, 그는 알바라도라는 지난날의 한 부호를 만나 많은 이야기를 나눈다. 자기는 돈을 가지고 남한테 해를 끼치지 않았다는 것에 자위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빌라는 말한다. “참..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2.19
정신분석과 프로이트/마가렛 머켄하우프트/바다출판사 꿈을 기록하고 해석하다 프로이트는 기억을 찾는 동안 꿈을 꾸기도 했다. 그는 자신이 꾼 꿈을 거의 기억했으며 여러해 전부터 꿈을 계속 기록했다. ‘이르마의 주사 꿈’에서 그는 꿈을 소망 성취로 보았다. 그러나 많은 꿈이 악몽이며 불쾌하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많은 생각 끝에 그는..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2.07
나는 왜 너 가 아니고 나인가/김영사/류시화 홀로 있음 속에서 그 보이지 않는 절대 존재와 침묵으로 소통하는 일이야말로 인디언들의 종교적인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 “어머니대지와, 그곳에 사는 서로 다른 사람들을 잘 보살피라. 어머니 대지와 모든 생명체들을 존중하라. 모든 생명에 대해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감사하..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2.01
공병호의 고전강독3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진정한 행복을 묻다/해냄 .. 그렇다면 행복한 사람은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이 또한 자신의 기능을 탁월한 수준까지 최선을 다해 발휘하는 사람일 것이다. 우리는 “인간적인 좋음은 탁월성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일 것이다(the good of man is an activity of the soul in conformity with excellence or virtue.)”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주목해야 한다. 이런 탁월성이 여럿 있다면 이들 중에서도 최상이고 가장 완전한(the best and most complet)탁월성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이 바로 행복이라 할 수 있다. 이런 행복은 잠시 반짝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어야 한다. 즉 반복이 필요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지속성은 어디에 뿌리를 두는 것일까? 한 인간의 품성.. 책 만권을 읽으면.. 2013.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