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 5

니체의 위대한 자유 ㅣ니체 ㅣ우르즐라 미헬스 벤츠 엮음 ㅣ열림원

.... ..."나는 여러분이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것부터 시작하기를 바란다. 다른 모든 것은 거기에서 비롯된다. 자기 자신을 믿지 않는 사람은 항상 거짓말을 한다.  우리의 일상적인 기분은 우리의 주변 환경을 유지할 줄 아는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 많은 것을 보기 위해서는 자신을 단념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인간은 한번 타락하면 항상 짐승보다 더 아래로 가라 않는다. 네가 너 자신을 사랑한다면, 너 자신을 사랑하듯 네 이웃을 사랑하라.  사랑하는 사람은 아무런 댓가 없이 자신을 내어주지만 사랑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거저 받고 싶어한다.   좋은 결혼은 우정이라는 천품을 토대로 하기에 최고의 친구가 최고의 배우자를 얻는다. 인간의 모든 활동은 놀랍도록 복잡하다. 어떤 활동도 천재적이지 않을뿐더러 기적적이지..

바르게 살지 마라 무섭도록 현명하게 살아라 ㅣ발타사르 그라시안 ㅣ빅피시

..김종희 옮김.. ...능력이 없을 수록 허세를 부린다-훌륭한 사람일 수록 거드름 피울 필요가 없다. '그럴 수 있다'는 생각-못생긴 얼굴도 매일 보면 신경 쓰이지 않듯 동료의 결점도 차츰 받아들이라.사람은 모두 서로 돌보고 산다. 대하기 어렵고, 더구나 피할 수 없는 사람이란 언제나 있는 법이다. 그렇다면 생각을 전환해 '그럴 수 있다'고 여기자.그러면 싫은 사람과 관계를 유지해야 할 때도 조금 수월해진다.  경쟁자를 동료로 만들라-누군가가 당신을 노리고 상처 주려고 할 때 이를 피하는 방법이 있다. 경쟁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동료로 바꾸는 것이다. 자신을 상처 주려는 상대에게 기꺼이 자신의 뒤를 봐주는 역할을 맡겨라. 어떻게든 상대가 자신에게 신세를 지도록 하여 , 당신을 위험하려 했던 의지..

느림과 비움의 행복 ㅣ띵디 쌤 김태환 ㅣBOOKK

... ."배로 강을 건너는데 , 빈 배가 더내려 오다가 그 배에 부딪쳤다. 사공은 성질이 급한 사람이지만 그 배가 빈 것을 알고 화를 내지 않았다. 그런데 떠내려 온 배에 사람이 타고 있으면 당장 소리치며 비켜 가지 못하겠느냐고 했을 것이다. 한 번 소리쳐서 듣지 못하면, 다시 소리치고, 그래도 듣지 못하면 세번째  소리치는데,  그때는 반드시 욕설이 따르게 마련이다. 처음에는 화를 내지 않다가 지금와서 화를 내는 것은 처음에는 배가 비어 있었고, 지금은 배가 채워져 있는 까닭이다. 사람들이 모두 자기를 비우고 인생의 강을 흘러간다면 누가 능히 그를 해롭게 하겠는가? [장자 ] , [산목]  -비움, 가벼움, 듣기 좋은 말이다. 바람처럼 시원하고 홀가분하다. 채움, 무거움, 왠지 듣기 거북하고 둔탁하다..

아무튼 계속 ㅣ김교석 ㅣ위고,제철소,코난북스

.......김교석-TV칼럼니스트. .."독서는 목적이 있다. 지식을 쌓거나 지혜를 얻기 위해서, 아니면 재미나 위로를 얻기 위해서, 그것도 아니면 취미가 독서라고 둘러대기 위해서...어쨌든 저마다 이유가 있다. 뭐, 요즘은 그 어떤 이유로든 책을 읽지 않긴 하지만, 그런데 아쉽게도 이 책에서는 그 무엇도 찹을 수 없다. 혼밥족이 공유할 만한 정보나 라이프스타일의 제안도 없다. 최대한 있는 것들을 다 끌어안고 살아가자는 이야기라서 '욜로'와도 대척점이 있다. 동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로해줄 정서적 치유 따위는 당연히 없다.   일상을 유지하기 위해 해야 하는 것들 : 어제와 같은 오늘, 그리고 오늘과 똑같은 내일을 위해 -일주일에 세 번 수영장에 간다. 6년째 다니고 잇는 월수금 저녁 9시반 수..

습관의 말들 ㅣ김은경 ㅣ유유

..... ...습관이라고 하는 것은 나쁜 행동에 대한 우리들의 감각을 둔하게 만드는 괴물인데, 한 편으로는 착한 행동에도 아름답게 옷을 입혀 몸에 딱 맞게 해주는 상냥한 천사이다. -셰익스피어 - "우리는 거의 매일 같은 장소에서 약 43펴센트의 일상 행동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해빗- 사회심리학자 웬디 우드 ]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우리 일상행동의 절반 정도는 메뉴얼화되어서 반복되는 환경이나 조건에서 생각 노력없이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행동이 어떤 것들로 채워지느냐에 따라 우리는 매일 작은 성취감 또는 작은 패배감을 맛본다. 생각이 바뀌면 태도가 바귀고, 태도가 바귀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이 바뀌면 인격이 바뀌고, 인격이 바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