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의 편지: A landlord’s letter 조선일보2012년 12월 14일 금요일 윤희영의 News English 집주인의 편지: A landlord’s letter 미국 로스앤젤레스 주거 지역에 있는(be situated in a residen-tial area)한 임대 아파트(a rental apartment). 입주민들이 온통 축제 분위기에 휩싸여 있다(be in a festive mood) . 크리스마스 때문이 아니다. 방 2개에 주거.. 신문에서 배우다 2012.12.17
나비효과Buttefly effect 2012 12월 5일 수요일 조선일보 윤희영의 NEws English 나비효과:Butterfly effect ‘나비효과’란 나비가 날갯짓한(flap its wings)것이 지구 반대편에 태풍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이론이다. 미세한 변화(a subtle change)가 나중에 어떤 단계에선 큰 차이를 야기한다는(result in large differences to a later state)얘.. 신문에서 배우다 2012.12.14
각곡류목(刻鵠類鶩) 조선일보 11월 28일 정민의 세설신어 각곡류목(刻鵠類鶩) 후한의 명장 마원(馬援)에게 형이 남긴 조카 둘이 있었다. 이들은 남 비방하기를 즐기고, 경박한 협객들과 어울려 지내기를 좋아했다. 멀리 교지국(交址國)에 나가있던 그가 걱정이 되어 편지를 보냈다. 간추린 내용은 이렇다. “나.. 신문에서 배우다 2012.12.10
사람은 배우기를 원한다 고통없는 배움은 없다 깨우치려면 모든 걸 의심하라 2012.11.10~11 김형철교수의 '서양 인문 오딧세이' “사람은 배우기를 원한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형이상학’제 1권 1장 첫 문장에서 한 말이다. 인간 본성을 한마디로 줄이면 ‘끊임없이 배우려는 존재’라는 말이다. 권력, 명예, 부를 모두 가진 사람이 허무감을 느낀 끝.. 신문에서 배우다 2012.12.01
가장 가난한 대통령 조선일보 11월 23일 금요일 윤희영의 News English 가장 가난한 대통령 The poorest President 우루과이의 호세 무히카 (77)대통령은 은행계좌(a bank account)가 없다. 예금할(make a deposit)돈이 없기 때문이다. 유일한 개인 재산(his only personal accet)이라곤 낡은 1987년형 폴크스바겐 비틀 한 대뿐이다. 한달에.. 신문에서 배우다 2012.11.24
빨리 걸으면 세월은 천천히 간다 조선일보 2012.11.20. 화요일 김철중의 생로병사 올해 일본에서 100세를 넘긴 이는 5만 1000여명이다. 그중에서 아마도 가장 유명한 사람은 히노하라 시게아키 박사일 것이다. 그는 1911년 태어났다. 우리 나이로 치면 102세다. 그럼에도 여전히 매일 환자를 진료하는 현역 의사다. 일본 전역을 .. 신문에서 배우다 2012.11.21
사람은 배우기를 원한다 . 고통없는 배움은 없다. 깨우치려면 모든 걸 의심하라. 2012.11.10~11 김형철 교수의 '서양 인문 오딧세이' 사람은 배우기를 원한다 고통없는 배움은 없다 깨우치려면 모든 걸 의심하라 "사람은 배우기를 원한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첼레스가 '형이상학' 제 1권 1장 첫 문장에서 한 말이다. 인간 본성을 한마디로 줄이면 '끊임없이 배우려는 존.. 신문에서 배우다 2012.11.14
성적이 바닥이던 나도 교수 됐다...수험생들아, 인생은 아~주 길단다 조선일보11월 10~11 남정욱 교수의 명랑 笑說 지지리도 공부를 못했다. 혼자 힘으로 반평균을 떨어뜨렸다 수준의 고전적인 무용담으로는 소생의 부진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고등학교 시절 수학 틀별반이라는 게 있었다. 이 반의 존재는 국정원도 모른다. 자존심 배려 차원에서 당사자.. 신문에서 배우다 2012.11.13
길광편우(吉光片羽) 조선일보 11/7 정민의 世設新語 한나라 무제(武帝)때 서역에서 길광(吉光)의 털로 짠 갖옷을 바쳤다. 갖옷은 물에 여러 날 담가도 가라앉지 않았고, 불에 넣어도 타지 않는 신통한 물건이었다. 이 옷만 입으면 어떤 깊은 물도 문제 없이 건너고, 불 속이라도 끄떡없이 견딜 수 있었다. 길광.. 신문에서 배우다 2012.11.10
가장 행복한 나이:The happiest age 조선일보 11월 7일 수요일 윤희영의 News English 남자의 일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기는 몇 살 때쯤일까. 37세 전후라고 한다. 가장 큰 행복을 느낄 때는 '아버지가 되는(become a father)순간'이다. 그다음으로는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해 가정을 꾸리고 (get married and raise a family), 집과 차를 사고, 직.. 신문에서 배우다 201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