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는 ‘이 세상에는 영원히 완벽한 것은 없다. 대단한 성공이라도 반드시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했다. 완벽한 아름다움은 상상속에만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완벽함을 추구하는 사람은 상상의 늪에 빠져 전혀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결론은 명백하다. 우리는 완벽함을 추구할 필요가 없다.
완벽하지 않다는 것은 어딘가 흠이 있고 뒤떨어져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흠이 있고 뒤떨어져 있기 때문에 우리는 끊임없이 완벽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고, 그런 노력 안에서 쾌감을 얻는다. 이런 노력과 쾌감이 없다면 우리 인생은 아주 단조롭고 무미건조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부족함도 아름다울 수 있다.
실러의 <잃어버린 부분>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몸 한쪽에 이가 빠진 동그라미가 잃어버린 부분을 찾아 여행을 떠났다. 완벽한 동그라미가 되고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가 빠진 동그라미였기 때문에 빨리 구를 수가 없었다. 대신에 천천히 굴러가며 들꽃의 꽃향기와 눈부시게 아름다운 햇살을 느끼고, 꿈틀꿈틀 기어가는 지렁이와 이야기도 나눌 수 있었다.
이 빠진 동그라미는 세상을 돌아다니면서 여러 종류의 동그라미 조각을 만났다. 하지만 모두 자기 몸에 맞지 않는 조각이었다. 그러던 어느날 이 빠진 동그라미는 드디어 자기에게 꼭 맞는 조각을 찾아냈다. 이제 완전한 동그라미가 되었다. 완전한 동그라미는 아주 빨리 구를 수 있었다. 넘 빨라서 길가에 핀 꽃을 보거나 지렁이와 이야기를 나눌 겨를은 없었다. 빨리 구르기 시작하니 갑자기 온 세상이 바뀌었다.
그동안 가까이 있었던 세상의 아름다움이 모두 사라져 버렸다. 동그라미는 구르기를 멈추고 천신만고 끝에 찾아낸 ‘잃어버렸던 조각’을 길가에 버렸다. 그리고 다시 천천히 구르며 세상을 느꼈다.
부족한 부분이 있을 때는 완벽함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일단 모든 것을 손에 넣어 완벽해지면 꿈과 이상이 사라지고, 더 이상 열정이나 즐거움도 얻을 수 없다.
사람들은 보통 아주 아름답고 훌륭한 것에는 작은 흠도 있어서는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당연시해왔던 이런 생각이 우리 삶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시험점수가 좀 떨어졌다고 풀이 죽고, 말 한 마디 잘못하거나 실수했다고 계속 자책하고, 친한 친구의 작은 단점에 유감스러워하고, 음식이 맛이 없었다고 기분 나빠하고, 업무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의기소침하고, 한 번 기회를 놓쳤다고 세상을 원망한다.
한 번 실패했다고 모든 인생을 포기할 텐가? 모든 씨앗이 뿌리 내릴 수 있는 토양 위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듯 모든 노력에 보상이 뒤따르거나 모든 호의에 보답이 돌아오는 것은 아니다. 헤르만 헤세는 “인생은 치밀한 계산이나 수학의 총합이 아니라 기적이다”라고 말했고, 작가 푸레이는 “진정한 빛은 어둠이 완전히 사라진 순간이 아니라 영원히 어둠에 묻히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불완전함을 받아들이면 현실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삶의 질이 높아진다. 완벽함에 집착하지 않으면 원망이나 한숨은 줄어들고 자유와 즐거움이 늘어난다 . 인생의 모든 길을 여유로운 마음과 가벼운 발걸음으로 지날 수 있다.
----
이가 한 다섯 개 쯤은 빠진 동그라미인 나는 마음방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걸레질 하는 일에만 전념하고 있다. 부족한 나를 받아들인다. 살아있음에 감사하고 건강함에 감사하고 가족모두 특별한 나쁜 일 없이 함께 함에 감사하고 책을 읽을 수 있는 일에 감사하고 내 집이 있어 감사하고 긴 나무식탁과 작은 등과 독서하는 아이가 있어 감사하고 어쨌거나 작은 수입이라도 있는 일이 있어 감사하고 맛있는 사과를 먹을 수 있어 감사하고 아침마다 나를 실어주는 튼튼한 두 다리가 있어 감사하고 이렇게 일기를 쓸수 있는 멀쩡한 손가락이 있어 감사하고 뉴스를 들을 수 있는 밝을 귀가 있어 감사하고 눈이 내리는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밝은 눈을 지녀 감사하고 어제보다 눈꼽만큼 모든 주어진 것에 자유롭고 평온한 나일 수 있어 감사하다.
'책 만권을 읽으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孔子/김세중편저/스타북스 (0) | 2013.12.24 |
---|---|
장자/장자/김학주 옮김/연암서가 (0) | 2013.12.20 |
날마다 좋은날/현각스님/시공사 (0) | 2013.12.07 |
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법정 잠언집/류시화 엮음/조화로운 삶 (0) | 2013.12.06 |
老子잠언록/황천춘 편저 이경근 옮김/보누스 (0) | 201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