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에서 배우다

떠나고 싶다는 나라에 시집온 몽골 주부입니다

다림영 2010. 8. 26. 21:02
728x90
반응형

조선일보 8/26 목요일/차강 앙흐토야/다문화 어린이 도서관 '모두' 직원

 

내 고향은 몽골 남부 바얀홍고르. 초원가운데 자리 잡은 도시다. 대학 졸업후 수도 울란바토르에 있는 오빠 집에 살다가 아는 사람 소개로 한국남자와 만났다. 아이처럼 착한 남자였다. 나이는 나보다 일곱 살 많고, 서울에선 택시를 몰고, 신붓감을 찾아 몽골에 왔다고 했다.

 

아버지가 말렸다. 어머니는 "가라, 그 길이 , 네 길이라면"했다. 어머니와 떨어지는게 슬펐지만 이 남자와 헤어지기는 싫었다. 이렇게 착한 남자와 함게라면 먼 나라에 가도 행복할 것 같았다. 더구나 한국은 잘사는 나라라고들 했다.

 

 

서울살이 8년 째, 쉽지 않았다. 서울에 오자마자 주위 사람들이 "학국 학교에는 '왕따'라는 게 있다"고 했다. 놀라고 걱정됐다. 몽골학교엔 '왕따'가 없다. "엄마가  집에서 몽골말을 쓰면 아이가 한국말과 몽골말을 둘 다 못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결혼 첫해에 아들을 낳았다. 혼자 있을 때도 나는 필사적으로 아기에게 한국말을 썼다. 힘들었다. 답답했다. 아이를 야단칠 때도, 칭찬할 때도 '벽'을 느꼈다.

'벽'은 집 밖에도 많았다. 서울에서는 아이들끼리 놀이터에서 만나도 "너 몇살이니?"부터 묻는다. 몽골에선 위아래로 다섯살까지는 스스럼없이 지낸다.

 

 

나는 땅이 넓고 사람이 적은 나라에서 사람이 사람을 무시한다는 게 뭔지 잘 모르고 컸다. 한국에 와서 무시하는 게 뭔지 알았다. 무시당하는 대상이 바로 나였다.

하루는 친한 몽골인 주부들과 아이를 데리고 택시를 탔다. 우리가 몽골말을 주고받자 기사의 표정이 표나게 달라졌다.

 

 

목적지 근처에서 우리가 길을 정확히 몰라 "조금만 더 가달라"고 하자 그는 반말로 "너희가 여기라고 했잖아" 했다. 우리는 거기서 내렸다.

이런 일은 시장에서 옷 살때, 주민센터에서 서류뗄때, 아이 데리고 나들이 갈 때 수없이 반복된다. 내가 가만히 있으면 한국 사람인 줄 알고 자연스럽게 대하던 사람들이 내가 입을 열면 '어, 너 뭐야?' 하는 얼굴이 된다.

 

 

처음엔 내가 뭔가 잘못했나 싶었다. 한국남자와 결혼한 게 잘못인 걸까. 한국인은 외국인을 차별하는 게 아니라 '못사는 나라 사람'을 차별한다. 같은 외국인이라도 미국인은 잘해주면서 필리핀.베트남.몽골. 러시아에서 왔다고 하면 '못사는 나라'로 뭉뚱그려 얕잡아 본다. 나는 몽골의 최고 명문인 몽골국립대를 졸업했지만, 한국 사람들은 내가 한국말을 못하면 한국말뿐 아니라 다른 것도 다 모르는 줄 알 때가 많다.

 

 

"한국에 시집오니 좋으냐"는 질문도 자주 받았다.  "못사는 나라 사람이 잘사는 나라에 오니 좋으냐"는 의미로 들릴 때가 많았다. 대답하기 실었다. 나는 몽골이 싫어서 한국에 오지 않았다. 아무리 남편을 사랑해도 누가 내게 "한국이 좋으냐, 몽골이 좋으냐"물으면 당연히 몽골이 좋다. 고향이니까. 내 나라니까.

 

 

한국 국적을 얻을 수 있었지만 나는 몽골 국적을 유지했다. 국적까지 버리면 내겐 남는 게 없을 것 같았다. 한국에 뿌리내리기 위해 나는 이미 많은 것을 버려야 했다. 남들에게 인정받는 것, 부모.형제와 정답게 부대끼는 것. 내가 자란 방식대로 느긋하고 활달하게 사는 것을 다 포기했다.

 

 

그러던 어느 날 "괘념치 말자. 만족하면 된다"고 깨달았다. 몽골에서 배운 대로 살면 된다. 몽골에서 나는 나 자신에 만족했다. 내가 나와 남을 비교한 건 한국에 오면서부터다. 한때 빨리 많이 돈을 모아서 한국 사람보다 더 잘살고 싶었다. 살림도, 육아도 최고가 되고 싶었다. 욕심이  나를 힘들게 했다. 욕심을 버리자 후련해졌다. 몽골에 살때처럼 서울에서도 지금 내가 가진 것에 만족하면 편안해진다.

 

 

그러자 한국의 다른 모습이 보였다. 한국인은 무엇보다 부지런하다. 뭐든지 열심히 한다. 심지어 밥도 빨리 먹는다. 처음 왔을 땐 '인간이 이렇게 빨리 움직일 수도 잇다니!' 싶었다. 한국에서는 정신을 번쩍 차리고 살게 된다. 남편과 결혼하지 않았다면 나는 세상에 이런 나라가 있다는 걸 모르고, 그저 '한국'이라는 이름만 알고 살았을 것이다.

 

 

나는 아이에게 몽골말로 말하기 시작했다. 아들이 네 살 때 처음으로 나를 '에자'<엄마>라고 불렀다. 당황했다. 가슴이 뜨거웠다. '이게 바로 엄마라고 불리는 느낌이구나' 싶었다. 아이가 한국말로 '엄마'라고 부를 때는 한 번도 못 느낀 감정이었다. 아이가 처음으로 '임애'<할머니>,'우워'<할아버지>라고 했을 때 수화기 너머 친정 부모님은 목이 메셨다.

 

 

나는 아들을 데리고 서울 이문동에 있는 다문화 어린이 도서관 '모두'를 찾았다. 몽골.베트남.필리핀.러시아 등 10여개 국가 동화책을 갖춘 곳이다. 아들은 책을 읽고 나는 자원봉사를 했다. 이달 초 아예 직원으로 채용돼 월급도 70만원씩 받게 됐다.

 

 

이런 도서관이 생긴 걸 보면 한국도 참 좋아졌다. 그래도 아직 부족하다. 엊그제 미국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148개국 성인 35만명을 대상으로 '이민가고 싶은 나라'를 조사햇다는 기사를 읽었다. 1등은 싱가포르, 2등은 뉴질랜드, 한국은 50등이엇다. 모든 사람이 원하는 대로 삶의 터전을 바꿀 수 있다면 싱가포르와 뉴질랜드는 지금보다 인구가 두배쯤 늘고, 한국은 8% 줄어든다고 했다.

 

 

한국은 잘 사는 나라인데, 어째서 살고 싶어하는 사람보다 떠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더 많은 걸까. 한국 사람들은 '층계'를 좋아하는 것 같다. 저마다 마음속에 무수한 층계를 만들고 '못사는 나라' 사람은 무조건 자기보다 낮은 계단에 서 있다고 생각한다. 이민자를 위한 제도를 갖추는 것 못지않게 마음의 층계가 사라져야 '이민 가고 싶은 나라'가 된다. 국적을 따지기에 앞서 '인간 대 인간'으로 외국인을 존중할 때 비로소 진정한 관계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차강 앙흐토야씨가 구술한 것을 사회 정책부 기수혜 기자가 정리한 것-

 

------

 

 

이제는 그녀가 욕심을 버렸다니 그전보다 조금 덜 할지 모르겠다.

그녀가 처음 겪었을 못사는 나라의 설움이 눈에 환하게 보이는 듯 하다.

 

진정한 선진국이라면 인간적으로 존중하는 자세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들은 그들대로 잘나지도 못한 사람들이 눈에 빤히 보이는 행동을 할 때에 얼마나 역겨웠을까....

앞으로는 부끄러운 모습의 대한민국국민이  아니었으면 정말  좋겠다.

 

욕심이 그녀를 힘들게 했다고 했다. 욕심을 버리니 후련해졌고 서울 생활에 만족하고 편안하다고 했다.

그녀의 나라는 참 아름다운 나라다.

사람이 사람을 무시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몰랐다고 했다. '왕따'라는 말을 대한민국에서 처음 들었다고 했다.

 

무수한 계단이 많은 나라, 선진국을 자랑하면서도 떠나고 싶은나라, 148개국 중에서 이민가고 싶은 나라 50등인 나라..

강자에겐 약하고  약자에겐 강한모습이라니...

어쩌면 내 모습은 아니었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