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좋은책 67

그때 그때 가볍게 산다 ㅣ장성숙 ㅣ 새벽 세시

.......새벽 세시 출판사... 기억된다. 그냥.. 나는 새벽 세시엔 일어날 수 없다. 푹 좀 더 자야 한다. 그렇게 일어난다면 오후에는 벌써 눈이 감겨 맥을 못출것이다. 이 출판사는 아마도 청춘의 대표가 이끄나보다 . 어찌되었든 기운이 좋고 부럽고 멋지다. 앞으로 새벽 세시에 일어날 계획을 세우려 한다면 최소한 저녁 9시엔 자야 하므로 ... 쉽지 않다. ^^  .."모든 게 한 끗 차이에 불과한데 그것을 너무 크게 보아 우쭐하거나 의기소침해하지는 말자는 것이다. 세상의 일은 다른 면에서 보면 그저 미세한 차이를 보일 뿐이기에 현재 우리가 느끼는 행불행도 기실 별 것 아닐 수 있다.  무엇보다 자신의 본모습대로 생동감 있게 사는 게 잘 사는 것이라고 믿3는다. 그리고 이것은 '나'라는 존재에 대한 ..

애쓰지 않아도 괜찮아 ㅣ시미즈 다이키 ㅣ큰나무

....- "나는 지금을 살고 있다. 지금을 산다는 건 지금과 하나가 되는 것. 눈앞의 것에 몰두하는 것. 실패하기에 실해하지 않는 방법을 알게되고, 낯을 가리기에 분위기 파악을 하게되고, 아파봤기에 아픈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고 동신을 지녔기에 창조적인 어른이 될 수 있다.  너무 가까이에 있어서 보이지 않고, 매일 보고 있어서 놓치는 것이 있다. 무엇이든 익숙해지면 특별했던 것이 당연한 것이된다. 오랫동안 함께 있다보면 소중한 사람을 소중히 여기지 않게 된다. 그러나 너무 가까이 있어서 보이지 않던 것이 멀리 떨어지면 보이게 될 때가 있다.  방황하고 있다면 우선 해볼것고민하고 있다면 우선 해볼것미련이 남는다면 우선 해볼것해보지 않고선 모르겠다면 우선 해볼것신경이 쓰인다면 우선 해볼것. 지금을 온..

보통의 언어들 /김이나/ 위즈덤하우스

... .."사람의 단점을 기가 막히게 캐치해내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을 보면 쉴새없이 자기의 단점ㅇ믈 고백하는 것처럼 보인다. 가급적이면 좋은 걸 더 많이 보는 사람은, 아마도 안에 좋은게 더 많은 사람일 테다. 인간에게 '객관적'시작이란 건 존재하지 않는다면 차라리 나의 좋은 면에 투영시켜 좀더 나은 세상을 보는 것도 방법이겠다.  부정적인감정이 깃든일에는 룰이필요하다잊지말아야 할 것은 , 모든 부적절한 것들에는 중독성이 있으며 중독성이 잇는 것들은 습관이 된다는 사실이다. 최대한 멀리 하되, 부득이 이를 하게 된다면 그에 따른 감정을 공유하지 않는것. 그리고 그 나쁜 것들이 그 사람의 전부는 아니라는 걸 굳이 상기하며 마무리 짓는 것을 내 뒷담화의 룰로 정의해본다.   미안하다는 말은 말꼬리..

문장과 순간 ㅣ박웅현 ㅣ(주) 인티엔

......"日常이 聖事다"..하루하루가 다 성스럽다. 성스러운 무언가를 찾는 인생이 아니라 내게 주어진 하루하루를 성스럽게 만드는 인생을 사는 것이 내 목표다. "부조리한 세상에서 한 걸음 물러나 일상의 작은 의무들을 수행하는 삶의 중요성 "-볼테르,미크로메가스.킹디드 혹은 낙관주의 해설중에서  "왜 사느냐 그것은 따질 문제가 아니다. 사는 것에 열중하여 오늘을 성의 껏 사는 그 황홀한 맹목성 "박목월 .내년의 뿌리 "어쩌면 일어났을지모르는 공상을 하는 대신에 지금 이 순간을 사는 것" -역사학자 유발 하리라.  "이렇쿵저러쿵 따지지 말고 일합시다. 그것이 인생을 견딜만하게 해주는 유일한 방법이에요" -볼테르  작은 의무들을 수행하는것. 그것이 부조리하고 불합리한 인생을 잘 살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소나무

----.. 소나무는 뿌리에서 다른 식물이 자라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물질을 분비해서 주변에 송이버섯외에는 그 어떤 식물도 공존하지 못한다. 그만큼 혼자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드러내려는 독재적인 나무다.  하지만 여전히 소나무는 민족의 상징적인 나무로서 시련과 역경에도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사람을 떠올리게 하는 나무다.  [논어]에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드는 것을 알수 있다.'는 뜻을 가진 "세한 연후 지송백지후조야 "라는 구절이 있다.간단히 '세한송백'이라는 말로 소나무의 지조를 칭찬하기도 한다. 이말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의 제발(서화에 그 유래나 비평등을 적은것)이기도 하다. 진정한 군자는 시련과 역경. 고난과 환난을 당해봐야 그 진가를 알 수 ..

나무는 나무라지 않는다 /유영만 /나무생각

......나무는 매 순간 최선을 다할 뿐이다.우리사회는 마치 꿈 강박증에 걸린 듯이 꿈을 꾸지 않는 살마을 죄인 취급하는 분위기다. 꿈 멘토라고 등장한 수많은 사람들도 청춘들에게 꿈을 꾸라고 강요한다. 과연 우리 모두가 그렇게 꿈을 꾸어야 하는 것일까. 고전인문학자 고미숙은 "나무에겐 꿈이 필요없다. 열매를 맺는 순간 떨어지고 말텐데,어떤 나무가 그걸 꿈꾸겠는가" 라고 했다.그렇다. 나무는 꿈을 꾸지 않는다. 나무의 꿈은 열매를 맺고 씨앗을 뿌리는데 있지 않다. 그저 주어진 조건과 환경에서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살아갈 뿐이다.  "나무는 오로지 살아남기 위해서 치열하게 살아갈 뿐이다"강판권살아가기 위해서는 살아남아야 한다. 살아남으려면 살아내야 한다. 치열하게 살아내야 살아남을 수 있고 살아남아야 다음..

책읽어주는 남자, 10년의 노트 /예병일 /21세기북스

.......목표를 작게 쪼개 실행하기... 가로수를 보며 마라톤을 하듯 -크고 원대한 목표를 세우는 것은 좋지만 그것에 압도 되어 정작 실행을 하지 못하면 안 됩니다. 큰 목표를  세우는 것만큼, 그 목표를 경영하며 실행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좋은 방법은 그 목표를 작게 쪼개서 하나하나 해나가는 것입니다.  "완벽을 추구하는 것보다 실행해 보는 것이 낫다.  -미국 캘리포니아 팰로앨토의 페이스북 본사에 걸려 있는 표어 목표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언제까지 무엇을 할 것인가. 목표는 이처럼 구체적이고 명확해져야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착각하면서, 실제로는 효율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막연히 사과가 떨어지기만을 나무 밑에서 기다리고 있는 꼴이 ..

만족에 대하여

.....만족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서 온다. 인생에서 만족을 찾느냐 못 찾느냐는 지난 세월의 이야기가 아니라 의지에 달려 있다. 잘되겠다고 노력하는 것 이상으로 잘 사는 방법은 없다.또 잘되어 간다고 느끼는 그 이상으로 큰 만족도 없다. 욕망은 결코 만족할 줄 모른다. 바보스럽게도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무지개찾기에 뛰어들고 있다. 몇 개의 무지개가 있어야 만족할 것인가? 현명한 사람이란 누군인가? 모두에게 배우는 사람이다. 강한 사람은 누구인가? 스스로의 열정을 지배하는 사람이다. 부유한 사람은 누구인가? 만족하는 사람이다.그렇다면 그런 사람은 누구인가?  아무도 없다.  개구리에게는 황금의자보다 연못 속이 더 좋다.가장 적은 것으로도 만족하는 사람이 가장 부유한 사람이다. 사람은 성공했기 대문에 만족하..

행동이 귀하면 ㅣ캘리그라피 ㅣ사람이 운명이다 중에서 -

.. ...........김승호 책 사람이 운명이다 중에서 "좋은 사람을 만나야 좋은 운며의 문이 열린다. 그러니 사람을만나 그 앞에서 하는 나의 행위가 매우 중요하다. 행동이 귀하면 반드시 귀한 사람이 된다. 그것은 하늘의 이치다. 예로부터 훌륭한 가문의 살마들은 애서 교양을 익혀왔다. 교양없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해치고 남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남들이 환영하는 사람이 되어야 운명도 열리는 법이다. "....

운이 복리처럼 쌓이는 사람들의 습관 /사쿠라이 쇼이치.후지타 스스무 /김현화옮김 /빌리버튼

......복잡하게 승부하면 패배한다-초심자의 행운을 부르는 심플함은 어렵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ㅅ ㅡㅇ부를 복잡하게 만들지 않고 심플하게 하려면 쓸데없는 생각은 버리고 느끼는 바를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심플한 것이 가장 강하다 운의 흐름이 바뀌는 전환점-그렇게 상대의 운에 압도당해도 내 상태를 유지하면서 참고 견디면 운의 양이 변했다고 느껴지는 '전환점'이 반드시 찾아온다.  진짜타이밍이 아니면 승부하지 마라 -누구에게든 1년에 한 번쯤은 승부처가 찾아온다. 그러니 그대를 가려 내여 타이밍을 놓치지 않고 승부할 수 있도록 평소에 준비를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  패배의 99%는 '자멸'이다.-일부러 패배하려는 사람은 없는데 어째서 자멸하는 것일까.그것은 승리를 원하는 사고방식이나 행동방식에 자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