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독敦篤에 대하여
돈독은 두터울 돈(敦)과 도타울 독(篤)으로 합성된 한문 글자다. 옥편에는 돈이나 독이나 다 같이 ‘후(厚)'의 듯으로 적혀있고, 국어사전에는 명사로서 ’인정이 두터움‘이라고 해석해 놓았다. 그러나 주로 ’돈독하다‘의 어근(語根)으로 쓰이는데, ’돈독하다‘는 ’인정이 두텁다‘’는 뜻의 형용사로서, 예를 들어 ‘이웃간에 정이 돈독하다’느니 ‘우애가 돈독하다’느니 하는 등 사람과 사람의 사이를 이를 때 쓴다고 구체적으로 해석을 해 놓았다. ‘yahoo 한영사전’에는 돈독은 돈후(敦厚)와 같은 말로 sincerity(성실, 정직:표리가 없음)라고 영역(英譯)했다. 국어사전보다 추상적이지만 나는 영역이 맘에 든다. 돈독하다는 표현이 반드시 사람과 사람의 사이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내 고향 동네 앞들 복판에는 둥구나무가 한 쌍 서 있다. 신작로가 개설되기 전에는 이 둥구나무 사이에 동네에 들고나는 길이었다고 하니까 당초에는 동구였던 셈이다. 동네를 연 사람 중에서 택리(擇里)에 안목이 있으신 분이 허전한 동네 앞을 비보(裨補)할 목적으로 심은 나무일 것이 분명하다. 비교적 모질게 크는 팽나무가 저만큼 클 때는 몇 백년은 족히 묵었을 것이다. 나무의 모습은 언제 보아도 좋다. 새는 날 미명에 드러나는 나무도 좋고, 저무는 날 노을에 묻히는 나무도 좋다. 또 이파리가 피어나는 봄의 나무, 뽀얗게 소나기에 묻히는 여름나무, 잎을 지우고 서 있는 겨울 나무 등 다 보기 좋다. 그러나 나무의 모습이 보기 좋은 것과 돈독해 보이는 것은 다르다.
보기가 좋다는 것은 시각적이고, 돈독해 보인다는 것은 마음의 느낌이다. 나무의 모습이 항상 보기가 좋다 해도 돈독해 보일 때는 따로 있다. 갈걷이가 다 끝난 초겨울, 잎을 다 지운 나무가 빈들 가운데 의연하게 마주서서 첫눈발 속에 묻히는 모습을 보면 그렇게 돈독해 보일 수가 없다. ‘그럭저럭 일 년 농사를 마무리했네그려-’. 같이 늙은 두 농부가 그리 말하며 빈들을 바라보고 서 있는 듯한 풍모다. 나무도 돈독해 보일 수 있다는 사실에서 돈독의 영역(英譯)인 sincerity가 나는 좋다.
낱말의 뜻은 그렇다 치고, 그보다도 ‘돈독하다’는 ‘돈도카다’로 발음되는데 된소리와 된소리가 어울린 억양이 손아귀에 꼭 잡히는 조약돌의 무게만치 묵직할 뿐아니라, 발음하는 맛이 꼭 춘분때쯤 땅에 묻었던 항아리를 헐고 거낸 군내 나는 묵은 김치 맛처럼 그윽하다. 그래서 나는 ‘돈독하다’란 말을 좋아한다.
나는 미술에 대해서는 아는 게 없지만 밀레의 그림은 좋아한다. 그러나 바르비종파의 미술 경향인 자연에 대한 로맨틱한 감정과 서정적인 화취(畵趣)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바르비종파 화가와는 달리 바르비종의 풍경보다 바르비종 농민의 삶을 바라본 밀레의 일련의 그림들 ‘이삭을 줍는 여인들’이나 ‘만종’등에서 느낄 수 있는 삶의 엄숙성 때문이다.
하루일을 마치고 일한 자리에 흘린 이삭을 줍는 여인들의 진지한 모습과 저녁 종소리에 기도를 드리는 농부 내외의 감사한 모습에서 나는 고마운 마음을 느낀다. 그들의 행색으로 보아 바르비종의 가난한 소작농들이 분명하다. 그러나 삶의 고단함에 대한 비관적인 기색은 전혀 느낄 수 없다. 그들의 모습을 보고 삶의 가치가 이러니저러니 말한다면 삶을 모독하는 짓이다. 삶은 삶일 뿐이다. 삶은 현재형이지 미래형이 아니다. 밀레의 그림에 대한 나의 감상이다.
나는 밀레의 그림을 보면 내가 미술에 약간이나마 소질을 타고 나지 못한 게 원망스럽다. 미술의 소질을 타고났으면 나는 분명히 바르비종파 아류(亞流)의 화가가 되었을 것이다. 물론 바르비종에 가서 그림을 그릴 필요까지는 없다. 내 고향 ‘윗버들미’가 곧 바르비종이기 때문이다. 나는 내 고향 윗버들미에서 밀레그림의 모티프인 ‘삶의 엄숙함’을 수도 없이 보았다.
나는 내 할머니가 하루 일을 마치고 밭고랑에서 일어서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하루 종일 구부리고 일한 허리를 미처 펴지도 못하고 구부정한 자세로 밭둑으로 걸어나오셨다. 그러나 나는 허리가 아파서 상을 찡그리시는 할머니의 모습을 보지 못했다.
밭둑으로 걸어 나오신 할머니는 비로소 허리를 펴시고 노을 지는 쪽을 향해 서서 머리에쓴 수건을 벗어서 툭탁툭탁 몸의 먼지를 터셨다. 노을에서 눈을 떼지 않으신 채-. 나는 할머니의 그 모습을 보고 감히 할머니 ‘고생하셨어요’하고 인사를 할 수가 없었다. 할머니께 고생했다고 하는 것은 할머니의 노동에 대한 가치를 평가절하 하는 것만 같아서였다. 할머니의 노동은 단순히 노동이 아닌 엄숙한 삶의 현재 진행형이었다. 현재 진행형이라는 것은 장래에 대한 확신 여부를 떠나서 당장 살고 있다는 사실에 충만한 삶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지금은 화전정리 사업으로 다 사라졌지만 우리 동네 앞산에는 새조밭(火田)이 많았다. 그 중에서 화전정리의 일정선 아래 두 곰춘 씨의 새조밭이 나란히 붙어 있었다. 두 곰춘 씨란 영춘씨와 신도 씨의 별명이다. 영춘 씨가 큰 곰춘이고 신도 씨가 작은 곰춘이다. 두 사람이 일 욕심이 미욱한 데 대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일 욕심이 미욱한 거는 두 사람 다 한 저울에 달면 똑같은 양이지만 영춘 시의 이름 영자를 곰자로 바꿔서 곰춘으로 부르게 된 까닭에 그 어른이 큰곰춘이, 신도 씨가 작은 곰춘이로 불려졌다.
두 분이 돌아가시고 묵정밭이 되었지만 앞산의 두 뙈기 새조밭은 동네에서 제일 조농사가 잘되는 밭으로 이름이 붙은 밭이었다. 산비탈 새조밭이 토질이 좋아서 조농사가 잘 되었을 리가 만무하다. 신도 씨와 곰춘 씨의 억척스러운 영농의 결과였다. 두 분이 빈 몸으로 그 가파른 비탈을 올라가는 걸 나는 보지 못했다. 항상 두엄이나 인분을 담은 무거운 지게를 지고 앞뒤에 서서 올라갔다. 그렇게 밭을 가꾼 까닭에 조 농사가 잘 된 것이다. 농사는 물론 토지의 땅심(地力)덕도 있지만 땅심의 차이는 지주의 농심(農心)으로 얼마든지 상쇄가 가능하다. 앞산 비탈의 신도 시와 곰춘 씨의 새조밭 농사가 그 증거인 것이었다.
나는 여름날 해질녘 하루 일을 마치고 벌건 잔광 속에 앉아 있는 이 두 분의 모습을 보면서 자랐다. 훗날 돈독이라는 낱말을 배울 때 퍼뜩 이분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이 분들은 저문 밭머리에 나란히 앉아서 무슨 말을 했을까? 늘 그게 그리 궁금했다. 삶의 견해를 말했을까. 오늘 무척 더웠다는 말을 했을까. 가정잡사를 말했을까. 그런 말은 전혀 하지 않았을 것 같다. 그럼 무슨 말을 했을까. 그 분들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분명히-.
노을도 지고 어둠에 묻히는 곰 같은 두 삶이 앉아 있는 모습에서 나는 눈을 떼지 못하고, 밀레인 양 ‘돈독’이라는 화제(畵題)의 그림을 그렸다.
돈독한 모습은 돈독한 사이일 때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사이는 하루 이틀의 사이가 아니라 세월이 걸리는 사이다. 춘분 때까지 한 항아리에서 묵은 배추김치 같은 사이다.
그 두분은 죽어서 묵정밭이 된 그 새조밭 머리에 나란히 묻혔다. 그 자식들이 이농을 해서 성공을 했다. 어느 해 추석에 성묘를 왔다가 동네 경로당에 들러서 선친의 친구 되는 어른들에게 석물()을 해 세우고 싶다고 상의를 했는데, 어른들이 두 곰춘씨의 무덤을 그리운 눈으로 건너다보며 말렸다고 한다.
“그야 자네들 맘이지만 석물을 해 세우면 자네들 낯은 날지 모르지만, 석물에 치여서 자네 선친의 생애는 안 보일 걸...”
그 자식들은 다행히 동네 어른들이 한 말의 진의()를 알아듣고 석물은 해 세우지 않았다. 지금도 해마다 사초를 해서 아담하고 떼가 잘 살아 있는 마침맞은 크기의 봉분(封墳) 두기를 건너다 보면 그들의 생애만치 돈독해 보이는 것이다.
---
돈독한 우정을 지니고 있는 이가 있는가? 그것은 정말 불편함이 없고 거리가 느껴지지 않는 막역한 사이 일 것이다. 가끔 어떤 친구들에게서 불편함이 느껴지기도 했다면 오랜 기간 만나와도 돈독한 사이라고 말 할 수 없다.
나도 모르게 자를 재거나 나 먼저 생각하는 태도가 새어나왔다면 상대방도 그러했을 것이다.
돈독한 사이라 어깨동무를 하며 주저함 없이 얘기할 수 있는 우정이 있었으면 참 좋겠다. 그러면 더없이 환한 인생이겠다.
두터운 인정으로 관계를 그려나가며 살아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먼저 내가 좋은이가 되어야 한다. 좋은 사람이 되는데 부족함 없는 내가 되도록 노력을 게을리 말아야 할 것이다. 욕심 없이 사람을 대하며 순한 이가 되어야 할것이다.
'책 만권을 읽으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KBS특별기획 다큐멘터리)/이영돈/예담 (0) | 2013.05.02 |
---|---|
고전산문산책.조선의 문장을 말하다/안대회/휴머니스트 (0) | 2013.04.27 |
정의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리 호이나키/녹색평론사 (0) | 2013.04.13 |
즐거운 불편/후쿠오카 켄세이/달팽이 (0) | 2013.04.09 |
관중과 공자/강신주/사계절 (0) | 201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