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의 노인 같은 그런 분이 시계 때문에 그제 오셨드랬다.
그분이 다시 오늘 내게 들렀다.
눈을 뜨고는 봐주지 못할 행색이다.
간신히 말문을 연다.
때가 절은 시계 두개를 가져와 고칠 수 있느냐고 묻는다.
차라리 버리는 것이 나을 그런 모양새였다.
분리수거하는 자리에 가 보면 흔한 그런시계다.
후..
어디가 아픈지 얼굴은 병색이 가득하고 온갖 시름이 내려앉았다.
전혀 맞지 않는 건전지가 들어 있었다. 제몸에 맞는 것으로 바꿔주니 시계가 간다.
시계 몰골은 형편없어도 째깍째깍 잘 간다. 참 다행이다.
나이가 들어도 큰 아픔이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
시계처럼 굳건히 내 힘으로 하루를 살아내면 되는 것인데....
노인이 인사를 하고 문도 겨우 열고 나간다.
..
신문에서 우리나라 앞으로 노인문제에 대해 자주 언급하고 있다.
답답하고 안타깝고 미래가 걱정되어 불안하다.
이 동네는 유난히 가난한 노인들이 많이 보인다.
자식들이 있어도 돌보지 않는 것 같다.
언젠가 폐지줍는 노인에게 포도 한 송이 드렸더니 그 한 송이가 먹고 싶어도
돈이 없어 못 사먹었다며 그 작은 한 송이에 얼마나 감동을 하시던지...
그들은 그렇게 살고 싶어 사는 것이 아니다.
자식들에게 희생하고 삶에 노예가 되어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이리라.
사람 앞 일을 어찌 알겠는가?
열심히 노력하는 날들이지만 늙어지고 힘이 없어지고 병이 생기면 그 누구도 장담 못 하는 미래다.
신문에서 얼핏 본 글 내용처럼 노인문제는 가족만이 떠안을 수는 없다.
가족과 나라가 함께 안아야 할 문제다.
아이들을 잘 낳지 않는 나라 1위라고 했던가?
미리 짐작하지 않아도 앞 일은 불을 보듯 훤하다.
어찌 살아야 할 것인가? 생각하면 암담하기만 하다.
책임져야 할 사람들이 너무 많다.
내 미래의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생활반경을 자꾸만 줄이고 있다.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짬뽕 한그릇 (0) | 2010.11.17 |
---|---|
또 다른 가을의 향기 속에서 (0) | 2010.11.15 |
성적표 감상문 을 쓰다. (0) | 2010.10.21 |
황당 과 당황속에서 (0) | 2010.10.16 |
둘째의 여행으로 (0) | 201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