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 2장 세상 모든 사람이 아름다움을 아름다움이라 알고 있는 것은 이미 악한 것이다. 모두가 착함을 착하다고 하는 것은 이것은 이미 착하지 않음이며 그러므로 있음과 없음은 서로를 낳고 어렵고 쉬운 것은 서로를 이루며 길고 짧은 것은 서로를 견주며 높고 낮음은 서로를 기울며 음과 소리는 서로를 합하며 앞과 뒤는 서로를 따른다. 이로써 성인은 무에 처함으로써 가르침을 행한다. 만물이 일어나도 말하지 않으며 생겨도 가지지 않으며 이루어도 자부하지 않으며 공을 이루어도 머물지 않으며 오직 머물러 있지 않기에 이것은 가지 않는다. 노자 도덕경 3장 현명함을 숭상하지 않아야 백성과 싸움이 나지 않는다.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아야 백성은 도둑질하지 않으며 욕심낼 만한 것을 보지 말아야 백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