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ESSAY
5월 4일 수요일
최기훈 소망교도소 교육교화계장
아버지가 그렇게 흐뭇한 표정을 지으시던 모습을 평생 잊을 수 없다. 어릴 적, 더러 초등학교에서 무슨 상장을 받아 오기라도 하면 인사치레로라도 "그래, 우리 아들 최고다!" 라는 칭찬 한 번 듣고 싶었지만 아버지는 그저 밋밋하게 "잘했구먼!"하는 말씀 한 마디가 전부였다. 서운했지만 내색할 수도 없었다. 그럴 수 밖에 없었던 아버지의 속마음을 세월이 한참 지난 후에야 짐작할 수 있었다. 아버지는 글을 몰랐던 것이다.
그런 아버지가 환한 표정으로 잔뜩 아들을 치켜세웠던 것은 중학교2학년 무렵의 일이었다. 추수가 끝나고 벼 가마를 지게로 져서 나르는 일을 아버지 혼자서 감당하셨는데, 나도 한번 그 짐을 져 보겠노라고 나섰다. 아버지는 거듭 만류하셨지만 이웃집에서 작은 지게를 빌려다가 작대기를 두 손에 움켜쥐고 땅을 짚은 다음 허리에 힘을 주며 조심스럽게 일어섰다. 그 순간, 아버지의 표정이 그렇게 밝아 보일 수가 없었다.
"허허, 우리 아들 보았지! 이제 장정이 다 되었네."
실은 나도 기뻤다. 성취감이란 작은 것에 더 아름답게 빛나는 법이다. 아버지는 그후로 나를 대하는 눈빛이 달랐다. 당시 추곡 수매 벼 한 가마의 무게는 54kg남짓으로 그다지 무거운 게 아니었다. 아버지는 그렇게 나에게 지게질을 가르쳐 주셨다.
지게질을 배우기 전에 나는 낫질을 배웠다. 하지만 낫질하는 요령을 자세히 가르쳐 준다해도 한순간의 실수는 피를 볼 수 밖에 없는 철저한 현장 학습이었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망태기를 외발수레에 싣고 논둑길로 달려가서 지천으로 번진 쑥을 베어왔다. 그 쑥을 넣고 쇠죽을 쑤는데 아침마다 사랑채에 번지는 쑥 내음은 어미 소가 입맛을 다실 만도 했다. 그렇게 터득한 내 낫질 실력은 마침내 아버지로부터 인정받았다. "우리 아들, 낫질만큼은 품앗이 가도 돼! 암..." 나는 손가락이 유난히 길던 덕분에 가을 벼 베기 할 때 진가를 발휘햇다. 낫질을 할 때는 낫에 너무 힘을 주지 말고 벼 포기를 부여잡고 탄력있게 끌어당기면 곡식이 한 아름씩 내 품에 안겼다.
이제 팔순이 훨씬 넘으신 아버지로부터 나는 아직 한 가지 더 배우고 싶은 게 있다. 그것은 바로 쟁기질이다. 아버지가 소를 다루는 실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였다. 일소를 만들려면 실한 송아지를 골라야 하고 중소<中牛>가 될 무렵, 아버지는 소태나무 가지를 끊어다가 불에 그슬린 다음 코를 뚫어 코뚜레를 꿰고 멍에를 씌웠다. 그리고는 차근차근 쟁기를 끌게 했다. "이랴! 이랴! 워! 워! 무러! 무러!...." 아버지는 이렇듯 구성진 구령 소리를 내며 쟁기로 철마다 논과 밭을 갈아엎었다.
유난히 자갈이 많은 텃밭을 가는 날이면 아버지는 나를 불러 쟁기의 목을 누르게 했는데 소가 꾀를 내어 급히 가는 바람에 심경<深耕>이 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날 따라 소는 더욱 괴를 내어 내쳐 달아났는데 보다 못한 아버지는 돌연 고삐를 바투 잡아채며 "워, 워" 하고 세우는 것이 아닌가. "네가 한번 쟁기를 잡아봐라! 쟁기를 잡고는 뒤를 돌아보면 안 돼!" 쟁기를 잡고 뒤를 돌아보면 금세 소가 눈치 채고 내빼기 때문이었다. 쟁기를 처음 잡아본 그 기분을 누가 알 것인가.
초보운전자가 처음 잡아본 자동차 핸들은 이에 비할 바가 못 된다. 하지만 긴장과 흥분의 순간도 잠시였다. 어린 아들이 쟁기를 잡았으니 얕잡아 본 소가 냅다 달리기 시작했다. 겁에 질린 나는 "워, 워" 소리쳐 보았지만 어찌 아버지의 권위 있는 목소리와 같을쏜가. 그날의 쟁기질은 나의 처음이자 마지막 쟁기질이 되었다.
나는 그 후 고향을 떠나 교도관이 됐다. 그로부터 어느덧 삼십 년, 참 지난한 세월이었다. 지금쯤 고향 땅에선 논에 물을 가두고 모내기를 준비하는 시절이 됐다. 나는 물 댄 논 바닥을 맨발로 밟는 감촉을 잊을 수 없다. 굳이 '흙으로 돌아가라'는 성구<聖句>가 아니더라도 고향은 내게 늘 가슴에 사무치는 아버지의 품속 같다. 아버지는 온몸으로 아들을 가르치셨다. 샛벌 지는 새벽부터 쏙독새 울음으로 날이 저무는 저녁까지 흙과 더불어 평생을 살아오신 아버지의 삶이 바로 가르침이었다.
내게 주어진 일이 소외된 이웃에게 다가서는 것이라면 그 일에 남은 정성을 쏟고 싶다. 그리고 내 아들에게도 전해주고 싶다. 내 아버지의 가르침대로, 쟁기를 잡고는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신문에서 배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차미봉<苟且彌縫> (0) | 2011.05.21 |
---|---|
담박영정<淡泊零靜> (0) | 2011.05.10 |
작비금시 <昨非今是> (0) | 2011.04.18 |
곡돌사신<曲突徙薪> (0) | 2011.03.31 |
오늘도 난 상처받은 영혼에 귀를 기울인다. (0) | 201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