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펄펄 내리는 눈을 마주했으니
어찌 술 생각이 나지 않으랴.
석 잔으로는 채워지지 않아서
마시다 보니 한 말까지 이르렀네.
坐對紛紛雪(좌대분분설)
那能不飮酒(나능불음주)
三杯猶未足(삼배유미족)
行且到盈斗(행차도영두)
도운(陶雲)이진망(李眞望1672~1737)은 대제학과 형조판서 등 고관(高官)을 역임하고 영주의 사부(師父)가 된 명망가였다. 그는 술을 좋아했지만 대인관계를 잘하기 위해 마시지 않았다. 홀로 마시는 술을 가장 즐겼다. 비가 내리면 한 잔 마시고, 매화가 피면 한 잔 마셨는데 술이 가장 간절한 것은 눈이 내리는 때였다. 그때가 되면 무어라 형언할 수 없는 천지변화에 촉발된 감동이 술잔을 잡게 하곤 했다.
어느 겨울 눈이 몹시 내린 날 내리는 눈을 바라보며 술을 마시다가 대취하였다. 눈이 저렇게 내리는데도 술생각이 나지 않는 것은 잇을 수 없는 일이다. 한 잔 두 잔 홀로 기울이다 보니 한 말을 비웟다. 주량()을 자랑하려는 것이 아니다. 대설()은 말술로도 다 채워지지 않는 벅찬 흥분이 있기 때문이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한문학-조선일보 가슴으로 읽는 한시1/12
반응형
'애송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보처럼 웃으리 (0) | 2015.01.16 |
---|---|
[스크랩] 아무것도 아니었지 / 신현림 (0) | 2015.01.16 |
[스크랩] 빈 자리가 필요하다/오규원 (0) | 2015.01.09 |
[스크랩] 강기원의 `죽` 감상 / 황인숙 (0) | 2015.01.06 |
눈 내린 아침에/남상광 (0) | 201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