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물을 비춰주는 입 없는 보좌관 성호이익 선생은 [경명]에서 이렇게 썼다. 얼굴에 때 묻어도 사람은 혹 말 안 하지. 그래서 거울은 말없이 모습 비춰 허물을 보여준다네. 입 없는 보좌관과 한가지거니 입 있는 사람보다 한결 낫구나. 마음 두어 살핌이 무심히 다 드러냄만 어이 같으리 내가 잘못해도 옆에서 잘 지적하지 못한다. 가까우면 가까워 말 못하고, 어려우면 어려워 입을 다문다. 잘못은 바로잡히지 않은 채, 몸집을 불리다가 아차 싶었을 땐 이미 늦어 소용이 없다. 얼굴에 묻은 때처럼 알기 쉬운 것이 없지만 남들이 얘기를 안해주면 나는 잘 모른다. 곁에 거울이 있으면 굳이 남의 눈에 기댈일이 없다. 내가 내 모습을 직접 비춰 보고 수시로 점검하면 된다. 그래서 성호는 거울을 무구지보無口之輔, 즉 '입없는 ..